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정보

수성 vs 유성 실리콘 차이점 총정리|용도, 장단점, 선택 기준

by 원동대디 2025. 6. 25.
반응형

수성 vs 유성 실리콘의 차이점과 산업 현장 적용 사례

실리콘 실란트(Silicone, Sealant)는 건축, 제조, 자동차, 전자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방수, 접착, 밀봉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실리콘은 크게 **수성(워터베이스)****유성(오일베이스)**으로 나뉘며, 각각의 성질과 용도에 따라 선택이 달라져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두 실리콘의 차이점, 장단점, 활용 분야를 명확히 정리합니다.


1. 실리콘의 기본 개념

  • 실리콘 실란트: 실리콘 고무를 기반으로 한 밀봉제. 유연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다양한 표면에 접착됨.
  • **용매(베이스)**에 따라 수성 또는 유성으로 분류됨.

2. 수성(워터베이스) 실리콘

정의

물(H₂O)을 용매로 사용하는 실란트. 비교적 친환경적이며 작업성이 우수함.

장점

  • 친환경성: 유해한 유기용제가 없어 냄새가 거의 없음. 실내 작업에 적합.
  • 청소 용이성: 물로 도구나 표면을 쉽게 세척 가능.
  • 건조 시간 조절 용이: 개방시간이 길어 작업 중 수정이 쉬움.
  • 비용 효율성: 대량 사용 시 경제적.

단점

  • 내수성 약함: 완전 경화 전 수분에 노출되면 성능 저하.
  • 내구성 낮음: 외부 환경에 취약, 장기 사용 시 변형 발생 가능.
  • 접착력 한계: 유리, 금속 등 비다공성 소재에는 부적합.

주요 사용처

  • 건축 내장 마감 (실내 벽체, 목재, 석고보드)
  • 가구 제조 및 인테리어
  • 비구조용 실링 작업
반응형

3. 유성(오일베이스) 실리콘

정의

석유계 또는 알코올계 유기용제를 베이스로 사용한 실란트. 내구성과 접착력이 뛰어남.

장점

  • 우수한 방수성: 완전 경화 시 뛰어난 내습성 제공.
  • 강한 접착력: 유리, 금속, 세라믹 등 다양한 소재에 강력한 부착 가능.
  • 내열성/내한성: 고온, 저온 환경 모두에서 안정적인 성능 유지.
  • 내화학성: 자외선, 산·알칼리 노출에도 견딤.

단점

  • 유해성분 포함: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방출, 작업 시 환기 필수.
  • 취급 시 주의 필요: 피부 접촉, 흡입 위험 존재.
  • 도구 세척 어려움: 유기용제를 사용해야 하며 환경오염 유발 가능성 있음.

주요 사용처

  • 욕실, 주방, 창호 등 습기 많은 공간
  • 산업용 기계 밀봉
  • 건축 외장(창틀, 벽체 외부)
  • 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밀봉

4. 수성 vs 유성 실리콘 비교표


 

항목 수성 실리콘(워터베이스) 유성 실리콘(오일베이스)
용매 유기용제 (석유계, 알코올계)
친환경성 높음 낮음 (VOC 발생 가능)
냄새 거의 없음 강함 (환기 필수)
접착력 중간 (다공성 재료에 적합) 강함 (금속, 유리 등 다양한 재료)
방수성 약함 강함
사용 용도 실내용, 가구, 인테리어 실외, 욕실, 기계, 창호 등
내구성 낮음 높음
작업 난이도 쉬움 까다로움
가격 비교적 저렴 상대적으로 고가
 

5.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

  • 실내 환경 + 간단한 작업 = 수성 실리콘
  • 외부 노출 + 장기 내구성 요구 = 유성 실리콘
  • 인체 노출 우려 있거나 냄새 민감한 공간 = 수성 우선 고려
  • 방수 성능이나 내화학성이 핵심 = 유성 선택

결론

실리콘 실란트 선택 시 단순 가격이나 브랜드보다 작업 환경, 적용 재료, 필요 성능을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성 실리콘은 친환경적이고 작업성이 우수해 인테리어나 간단한 실내 작업에 적합하며,
유성 실리콘은 강한 내구성과 방수 기능을 요구하는 산업적 환경에 적합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