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 정보

분체 도장에 관한 모든 것

by 원동대디 2022. 12. 22.
반응형

분체도장 작업을 하는 작업자

분체도장(Powder Coating)

분체도장은 에폭시 또는 폴레에틸렌계의 분말을 원료로 사용한 페인트를 아주 작고 고운 분말의 입자로 만들어 철, 알루미늄 등에 정전기를 일으키며 도포하는 도장 방법입니다.

 

분체도장은 특성상 고온의 열처리(가마)를 약 160~200°C에서 도료를 녹여 제품에 밀착 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처리를 마치게 되면 도장 표면이 단단하게 굳어 부착력이 강해지고, 내구성(충격)이 뛰어납니다. 

 

또한 분체도장에는 휘발성 화학물질인 신너(Sinner)가 포함되지 않아 대기 오염의 공해 문제에서 자유롭습니다. 그리고 도포 후 바닥에 떨어진 잔여 페인트(도료)를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 도장 방법으로 선진국(유럽, 미국 등)에 수출되는 제품에서 많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분체도장의 단점

도료의 색상(Color)에 제한적입니다. 페인트 색상으로 널리 사용되는 먼셀코드RAL코드로 색상을 결정하게 되면 분체도료 컬러북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페인트(도료) 메이커 별로 분체도료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 색상표(카탈로그)에서 벗어나는 경우 별도의 주문이 필요하며 최소 생산 단위가 있어 소량의 제품 대응이 어렵습니다.

 

아래 메이커 별 도료 이름으로 검색하여 '컬러북(색상표)'을 확인하세요. (4대 분체도료 제조업체)

 

- KCC 가루멜

- 조광페인트 파우락

- 삼화페인트 파우톤

- 제비스코 파크멜

 

도료의 단가도 높은 편이며, 또한 액체 도장과 달리 열처리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시설투자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또한 열처리 공정을 표준대로 거치지 않으면 도장면(피도막)이 벗겨지는 박리 불량이 발생하여, 습도에 따라 기포(핀홀)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분체도장의 특수색상(특수무늬)

분체도장은 액체도장으로 표현할 수 없는 질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함마톤, 레자톤, 샌드톤이 대표적입니다.

함마톤
레자톤
샌드톤

분체도장의 단가

 

분체도장의 단가는 업체별로 열처리 하는 방식, 도장 부스의 크기 등이 모두 다르고, 의뢰하는 제품의 모양, 도료의 색상, 내부,외부용 도료의 가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특정 짓기 어렵습니다.

 

단가 요청은 분체도장 전문 업체에 문의를 해보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도장 업체에서 단가를 책정하는 방법으로 면적 별(m^2) 단가나, 중량(Kg)으로 단가를 책정하게 됩니다. 분체도장 업체에 견적을 받아보신 후 위 방법대로 나누어보면 면적별 단가나 중량별 단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댓글